IC434 - HorseHead Nebula(제16회 천체사진공모전 대상 수상작. 한국천문연구원 '이주의 천체사진 2008.03.16~2008.03.22' 선정작)
-NADA 제1천문대
-ADT Kastron 380DS w/ Astrooptics 3" Wynne Corrector
-AP EQ1200 GTO
-ST-10XME w/CFW-8A(-30, -40)
-two frame mosaic
[각 프레임]
-Hα : 1200초X5장(1X1)
-L : 300초X4장(1X1)
-RGB : 각 400초X4장씩(1X1)
-2007. 10. 17, 2007. 12. 15
지난번에 찍었던 반쪽에 이어 나머지 반쪽을 찍어 모자이크했습니다. CCD가 작으니 모자이크로 극복을... 그러나 블루밍 극복은 거의 불가능 한지라 더 넓게 모자이크하는 것은 이제 그만... T.T
모자이크 흔적 안나게 하기... 말머리의 배경 보글보글 끓게 하기... 커튼 자락 모양 살리기... 왼쪽 아래의 반사성운(NGC 2023) 지나번보다 더 리얼하게 살리기... 어두운 부분 최대한 살리기... 별색 살리기... 등등에 초점을 두어 이미지 처리를 했습니다. 힘듭니다. 특히 Hα 이미지를 사용하다보니 잔별들이 많이 죽습니다. 잔 별들이 초롱초롱 좌르륵 깔려야 하는데... T.T
크롭 거의 없이 모자이크 리사이즈입니다.
--------------------
<한국천문연구원 이주의 천체사진 설명>
- 명 칭 : 말머리성운(B33)
- 별자리 : 오리온자리 (Orion)
- 적 경 : 05h 40m 59s
- 적위 : -02° 27’ 30”
- 겉보기크기 : 6'x4'
- 분 류 : 암흑성운 (dark nebula)
- 거리 : 1,600광년
○ 위의 사진은 제16회 천체사진공모전 대상작인 암흑성운 B33이다. 이 암흑성운의 모양이 말의 머리를 닮았다고 하여 말머리성운(Horsehead Nebula)이라 부른다. 말머리성운을 배경으로 밝게 빛나는 붉은 색의 발광성운은 IC 434이며, 왼쪽아래에 푸른색의 반사성운은 NGC 2023이다. 특히 NGC 2023은 오랜 노출 촬영으로 성운 내부의 특성이 자세히 드러나고 있다.
○ 1889년 피커링(E. Pickering)은 사진관측을 통해 IC 434를 발견하였고, 1990년에 아이작 로버츠(Isaac Roberts)가 촬영한 사진에서 바나드가 처음 말머리성운을 확인하고 목록화하였다. 말머리성운은 거대한 오리온 대성운의 일부이며, 이 성운 바로 옆에 오리온자리 제타별(Alnitak)이 있다. 오리온자리 제타별은 오리온의 허리에 해당하는 3개의 별 중 동쪽에 위치한 별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