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1-03>

 

C/Y(Contax/Yashica) 마운트 렌즈들....

- Carl Zeiss Planar 2/100 T* (MMG)
- Carl Zeiss Planar 1.4/50 T* (MMJ)
- Carl Zeiss Distagon 2/28 T* (AEG)

MF 렌즈들로 성야촬영 용도로 마련했습니다. 물론, 5D MarkIII 에는 변환 어댑터를 이용하여 물려 사용합니다. 28mm 와 100mm는 참 좋습니다. 특히, 100mm는 Zeiss의 이름이 허명이 아님을 실감케합니다.

---------------------

<Carl Zeiss Distagon 2.0/28>
C/Y mount 렌즈들 중 rare한 item으로 꼽히는 몇가지 렌즈들 중 하나. AE 타입으로 독일에서만 제조되다가 후기형으로 개량되어 MM타입으로 재생산이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Floating element를 채용하여 근거리에서도 높은 해상도의 초점이 가능하며(24cm) 근거리 초점, 최대 개방시에도 주변부 화질 저하를 발견하기 힘들다. 초점 거리 자체는 Distagon 2.8/28과 동일하나, 렌즈가 주는 왜곡이나 화면의 모습은 오히려 Distagon 2.8/25에 더 가깝다. 일반적으로 독일제 AE type이 거의 대부분이나, 아주 드물게 독일제 MM type도 발견된다. Distagon 1.4/35와 더불어 광각에서도 눈에 띄는 outfocusing이 가능하게 만들어 주는 렌즈. 일반적인 렌즈와는 다르게 초점링을 돌리면 렌즈 알이 같이 회전하는 방식이나, 렌즈 알이 돌아도 경통은 회전하지 않는 매우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PL이나 CPL 사용시에도 특별한 번거로움이 없다.

<Carl Zeiss Planar 1.4/50>
가장 오래 전에 설계된 렌즈 형태이나(1890년) 당시로서는 많은 유리 장수에서 야기되는 내부 반사 문제를 해결할 수 없어서 Tessar보다 늦게 빛을 보게 된 렌즈. 렌즈의 단면이 거의 완벽한 대칭을 이루어 왜곡이 없는 매우 높은 해상도의 영상을 필름에 맺어주며, 렌즈 메이커에 상관 없이 현대의 표준 계열의 렌즈는 거의 대부분 이 설계를 사용한다. 또한 대구경 설계가 가능하여 f=1.4, f=1.2등의 밝은 렌즈 또한 제조가 가능하다.
Planar 1.4/50은 표준 화각 이라는 이유에서뿐만 아니라 화면의 투명함, 개방에서도 날카로운 선예도 등으로 Carl Zeiss C/Y 마운트 렌즈들을 대표하는 표준이라 손꼽히며 널리 쓰인다. 1.4라는 밝은 밝기에도 불구하고 최대 개방시 화질 저하가 다른 렌즈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으며, 50mm라는 화각 덕분에 풍경부터 인물까지 전천후 렌즈라 일컬어지기도 한다. 독일과 일본 모두에서 MM/AE 타입이 제조되었다.

<Carl Zeiss Planar 2.0/100>
Planar 1.4/85 보다 한 단계 위로 평가 받는 렌즈. 일반적으로 1.4/85에 비하여 사용자의 수가 적기 때문에 많은 평가나 의견 자체가 제한적이다. 당초 Planar 1.4/85 이후에 제작이 되었으며, 최대 개방에서의 화질에 좀 더 많은 중점을 두고 제작했다는 설이 있다. 이 설을 증명이라도 하듯이 실제 MTF 차트에서는 조리개 개방시 1.4/85보다 더 높은 화질을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며 콘탁스 렌즈들 중 MTF 수치 상위권에 속하는 렌즈이다. 당초 독일에서 AE type으로 제조되다가 높은 생산 원가와 적은 수요로 인하여 생산이 중단 되었으나, 일본의 Contax 매니아들의 강력한 요청으로 일본으로 생산시설을 옮겨 계속적으로 생산이 되어 온 역사를 가지고 있는 렌즈. 독일에서 일본으로 옮기는 중간 과정에, 독일에서 MM 타입의 렌즈를 소수 생산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재 시중에 있는 거의 대부분의 렌즈는 MMJ 혹은 AEJ이며, 일부 AEG, 그리고 극소수의 MMG가 존재하고 있다.
전반적인 렌즈의 외관과 디자인은 Planar 1.4/85의 형태를 따르고 있으나, 길이와 무게가 좀 더 증가되었다. Planar 1.4/85가 준망원을 이용한 인물과 표준 촬영을 위한 목적으로 많이 사용된다면, 2.0/100은 인물 촬영을 위하여 태어난 렌즈라고 이야기 하여도 과언이 아닐 정도의 성능과 특징을 지녔다. 최단거리 인물 촬영 시에도 얼굴에서의 왜곡을 발견하기 어려우며, 저심도로 인한 부드러운 인물 촬영부터 조리개를 조였을 경우의 날카로운 이미지까지 매우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다.

<출처> http://www.isajah.com/
-------------------------

'Equipment & Event > Equip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Lunt Solar Telescope 60mm  (0) 2015.09.30
TOAST Pro  (0) 2015.09.30
TG-SP II  (0) 2015.09.30
PENTAX - 125SDP  (0) 2015.09.30
CANON FD 300mm F2.8L  (0) 2015.09.30

<2011-09-30>

 

- Aperture : 60mm
- Focal Length : 500mm
- F Ratio : 8.3
- Single stack mode : 60mm, Bandpass: <0.7 Angstroms @ 656nm
- Double stack mode : 50mm, Bandpass: <0.5 Angstroms @ 656nm
- Blocking : B1200(12mm)
- Filter Type : Hydrogen Alpha
- Focuser : 2" Feather Touch

작지만 잘 보이는...
쌍안장치를 통하여 보면 더욱 편안한...
참 볼만하다...

'Equipment & Event > Equip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Zeiss C/Y Lens  (0) 2015.09.30
TOAST Pro  (0) 2015.09.30
TG-SP II  (0) 2015.09.30
PENTAX - 125SDP  (0) 2015.09.30
CANON FD 300mm F2.8L  (0) 2015.09.30

<2010-03-13>

 

 Toast Technology사 ( http://www.toast-tech.com ) 의 휴대용 적도의로 성야 촬영과 해외원정용으로 좋으며, 국내판매는 아스트로 라이프 ( http://www.astrolife.co.kr/ez/ ) 에서 하고 있습니다.

크기는 폭:100mm×높이:40mm(70)×길이:180mm, 무게는 1.5kg으로 다카하시의 TG-SP II보다 약간 더 작고 가벼우며, 장방형이라 휴대성 또한 더 좋습니다. 제품의 색깔은 자주색이 기본이나 은색과 자주색의 투톤도 있습니다.

전원은 6V~12V를 사용하며, Toast 모델에서 내부에 건전지를 수납했던 것과는 달리 Toast Pro에서는 외부의 배터리팩을 사용합니다. 별도의 전원 ON/OFF 스위치는 없으며 전원 잭을 연결하면 바로 작동합니다. 또한 크기와 무게가 Toast 모델에 비하여 절반으로 작아지고 가벼워져 휴대성이 더 용이해졌습니다.

극축정렬은 본체의 극축정렬 구멍에 북극성을 도입하는 것으로 끝나며 보다 정확한 극축정렬을 위하여 극축망원경을 별매로 하고 있습니다. 오너인 다케모토의 말에 의하면 스펙상엔 주기오차가 Toast는 ±5초 이하로, Toast Pro는 ±7초 이하로 되어 있으나 실측결과 Toast와 같이 ±5초의 성능을 보여주는데 제품에 따라 약간의 편차가 있을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7초 이하로 표기했다고 합니다. 여하튼 주기오차로만 보면 다카하시의 EM200과 EM11 사이라고 생각됩니다.

또한, 본체에는 남반구와 북반구를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와 표준 속도와 1/2 속도를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가 있으며 볼헤드를 올릴 수 있는 1/4인치 나사와 다카하시 타입의 M8 탭(35mm 간격의 M8 탭)이 4개 있습니다. 최대 탑재중량은 FS-60C와 DSLR을 같이 올릴수 있는 정도라고 합니다. 이정도면 카메라 두대까지는 무난하게 올려서 찍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작고 휴대성 좋으며 성능좋은 장비를 사용하게 되어 기분이 좋습니다. ^^

'Equipment & Event > Equip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Zeiss C/Y Lens  (0) 2015.09.30
Lunt Solar Telescope 60mm  (0) 2015.09.30
TG-SP II  (0) 2015.09.30
PENTAX - 125SDP  (0) 2015.09.30
CANON FD 300mm F2.8L  (0) 2015.09.30

<2010-03-13>

 

Takahashi TG-SP II 적도의(Teegul Sky Patrol II Equatorial Mount) 입니다.

무게추를 제외한 적도의 무게는 2kg이며 최대 탑재중량이 3kg입니다. 전원은 6V를 사용하며 전용 컨트롤러(P2-Z 적도의 컨트롤러와 공용이며 전환 스위치로 해당 모델에 맞게 설정하면 됨)가 있습니다. 컨트롤러 내부에는 1.5V AA건전지가 4개 들어가며 외부 전원 연결용 잭이 있습니다. 추적모드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고 적경축은 모터 구동과 수동이 가능하며 적위축은 수동입니다.

휴대성이 좋아 해외원정용(일식관측용)으로 구입하여 지난 1월 15일 중국 윈난성 금환일식 때 그 위력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다카하시 제품답게 펜탁스 75SDHF와의 조합에서도 전혀 흔들림 없이 멋진 금환일식을 촬영하게 해주었습니다. 올 7월 11일에 있을 프렌치 폴리네시아 및 이스터섬 개기일식 때도 충분히 그 몫을 해줄 것을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극축은 추봉 위의 구멍에 북극성을 도입하는 것으로 끝나며 보다 정확한 극축정렬을 위하여 극축망원경을 별매로 하고 있습니다. 크기와 무게는 토스트 프로(Toast Pro) 보다는 조금 크고 무겁네요. 그러나 적경핸들로 적경축을 수정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Equipment & Event > Equip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Lunt Solar Telescope 60mm  (0) 2015.09.30
TOAST Pro  (0) 2015.09.30
PENTAX - 125SDP  (0) 2015.09.30
CANON FD 300mm F2.8L  (0) 2015.09.30
ADT KASTRON 380DS  (0) 2015.09.30

<2009-05-31>

 

플래트너 내장....

넓은 이미지 서클(88mm)....

F6.4의 빠른초점비 (RC 0.77X67P 사용시 이미지 서클 88mm에 F4.9)...

펜탁스가 만든 5인치 FSQ...

금테두른...

이쁜 망경...

'Equipment & Event > Equip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AST Pro  (0) 2015.09.30
TG-SP II  (0) 2015.09.30
CANON FD 300mm F2.8L  (0) 2015.09.30
ADT KASTRON 380DS  (0) 2015.09.30
ST-10XME와 PENTAX 67 SMC 165mm F2.8렌즈  (0) 2015.09.30

<2008-05-22>

 

- 렌즈 : CANON FD 300mm F2.8L
조금 넓은 시야를 위한 장비로 렌즈 전면에 구경비를 F4로 늘려주는 마스킹(사진의 검은색 원형 물체)을 장착하여 사용합니다.
엄청난 렌즈입니다. ^^;

'Equipment & Event > Equip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TG-SP II  (0) 2015.09.30
PENTAX - 125SDP  (0) 2015.09.30
ADT KASTRON 380DS  (0) 2015.09.30
ST-10XME와 PENTAX 67 SMC 165mm F2.8렌즈  (0) 2015.09.30
주경 12인치 뉴토니언  (0) 2015.09.30

<2008-05-22>

 

- 가대 : Astro-Physics EQ 1200GTO
스펙에 탑재중량이 63.6kg으로 나와있네요. ^^;

- 경통 : ADT KASTRON 380DS
15인치(380mm) F3.9의 뉴토니안. 미러는 Stevens Optical 사장( Ed Stevens)이 연마한 최고급 미러입니다. ^^;

- 냉각CCD : SBIG ST-10XME
칩사이즈는 작지만 엄청난 고감도에 노이즈 적은 똘똘한 녀석입니다. ^^;

- 파인더 : 암시야조명장치가 부착된 7X50 다카하시 파인더... ㅎㅎ

- 코마코렉터 : 텔레뷰 파라코어 혹은 R200SS용 코마코렉터 그리고 임시로 사용하고 있는 Astrooptics 3" Wynne Corrector...

'Equipment & Event > Equip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PENTAX - 125SDP  (0) 2015.09.30
CANON FD 300mm F2.8L  (0) 2015.09.30
ST-10XME와 PENTAX 67 SMC 165mm F2.8렌즈  (0) 2015.09.30
주경 12인치 뉴토니언  (0) 2015.09.30
고정관측지 - NADA 제1 천문대  (0) 2015.09.30

<2007-05-22>

 

광시야(?) 촬영을 목적으로 ST-10XME에 펜탁스 67렌즈를 물릴 수 있게 어댑터를 제작하였습니다. CCD의 사이즈가 작다보니 늘 대상을 보다 넓게 찍고 싶었었는데 이제 조금이나마 갈증이 해소될 것 같습니다.

'Equipment & Event > Equip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NON FD 300mm F2.8L  (0) 2015.09.30
ADT KASTRON 380DS  (0) 2015.09.30
주경 12인치 뉴토니언  (0) 2015.09.30
고정관측지 - NADA 제1 천문대  (0) 2015.09.30
사진 촬영시의 장비 구성  (0) 2015.09.30

<2007-05-22>

 

가대는 Takahashi NJP TAMMA2로 30kg까지 올릴 수 있는 데 사용함에 있어 아주 딱입니다.

주경은 12인치 뉴토니언(292FN-지름 300mm 미러를 주변 마스킹하여 D:292mm FL:1200mm F:4.1로 사용하고 있음)으로 미러는 오리온(영국) 12인치 F4, 사경은 안타레스 옵틱의 1/12람다 3.5인치, 포커저는 2인치 페더터치를 사용하여 황인준님이 자작하신 것을 인수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코렉터로는 R200SS용 코마코렉터나 텔레뷰 파라코어를 사용하여 SBIG ST-10XME와의 조합으로 촬영하고 있으며, 크로즈업용으로는 R200SS용 익스텐더를 사용하여 FL:2250mm F:7.7로 촬영하고 있습니다.

광시야용으로는 CANON FD300mm F2.8L 렌즈와 PENTAX67 SMC165mm F2.8 렌즈를 SBIG ST-10XME와의 조합으로 촬영하고 있습니다.

'Equipment & Event > Equip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ADT KASTRON 380DS  (0) 2015.09.30
ST-10XME와 PENTAX 67 SMC 165mm F2.8렌즈  (0) 2015.09.30
고정관측지 - NADA 제1 천문대  (0) 2015.09.30
사진 촬영시의 장비 구성  (0) 2015.09.30
칼날 초점 장치  (0) 2015.09.30

<2006-01-01>

 

 

NADA 회원 중 8명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NADA 제1 천문대'의 모습.
이제는 홀가분하게 떠나 편안하게 관측하고 즐기다가 기분좋게 돌아오는 생활을 누리게 되었다.

'Equipment & Event > Equip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10XME와 PENTAX 67 SMC 165mm F2.8렌즈  (0) 2015.09.30
주경 12인치 뉴토니언  (0) 2015.09.30
사진 촬영시의 장비 구성  (0) 2015.09.30
칼날 초점 장치  (0) 2015.09.30
핀트 게이지  (0) 2015.09.3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