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DA 1천문대
-ADT Kastron 380DS w/ Astrooptics 3" Wynne Corrector
-AP EQ1200 GTO
-ST-10XME w/CFW-10(-25˚C)
-OIII : 0.01X10
-Two frames mosaic
-color : Canon EOS 450D / ISO100 /  1/320
-2011. 10/11

달을 촬영해보면 아주 적은 양의 색 정보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것을 잘 처리하면 컬러풀한 달이 탄생합니다. 달 표면의 색은 분포 광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고 합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냉각CCD는 감도가 너무 뛰어나 달을 촬영하기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달의 색상 정보는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여 얻은 것을 활용하였습니다.

'Solar System > Mo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tal Lunar Eclipse(2011.12.10)  (0) 2015.10.18
달(2011.10.03)  (0) 2015.10.18
보름달(2003.04.16.)  (0) 2015.10.18
copernicus  (0) 2015.09.30
tycho & clavius  (0) 2015.09.30

 

-NADA 1천문대
-Pentax 125SDP
-AP EQ1200 GTO
-Canon EOS 450D / ISO400 / 4
-2011. 12/10 2303

큰 맘 먹고 세팅한 후 테스트 샷까지 모두 마무리한 상태에서 식이 시작 되기를 기다렸다...
ㅎㅎㅎ... 순조로운 출발...
부분식을 시작으로 5분 간격으로 촬영을 시작했다...
잠시 후 곧 바로 구름이 몰려온다... 온통 구름이다... 가망이 없다...   T.T
그런데... 구름 사이로 잠깐 개기식 일보 직전에 한 컷을 찍었다. 겨우....
그리곤 눈발이 날렸다....

개기식 때는 달 뒤로 별이 보인다... ㅎㅎㅎ... 이쁜 것~!

'Solar System > Mo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lor of the full Moon(2011.10.11)  (0) 2015.10.18
달(2011.10.03)  (0) 2015.10.18
보름달(2003.04.16.)  (0) 2015.10.18
copernicus  (0) 2015.09.30
tycho & clavius  (0) 2015.09.30

 

-NADA 1천문대
-ADT Kastron 380DS w/ Astrooptics 3" Wynne Corrector
-AP EQ1200 GTO
-ST-10XME w/CFW-10(-25˚C)
-OIII : 0.01X10
-Two frames mosaic
-2011. 10/03

목적이 있어서 찍은 달. 월령 6.0
디카로 찍거나 CCD를 돌리면 모자잌하지 않아도 되는 것을.... 그것이 귀찮아서... 모자잌했다....

'Solar System > Mo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lor of the full Moon(2011.10.11)  (0) 2015.10.18
Total Lunar Eclipse(2011.12.10)  (0) 2015.10.18
보름달(2003.04.16.)  (0) 2015.10.18
copernicus  (0) 2015.09.30
tycho & clavius  (0) 2015.09.30

 

촬영일시 : 2003416
촬영장소 : 충북 제천 덕산
촬영장비 : FS-78, EM200USDII, XL21, CP5000, F/4.4, fl 18.8mm, 감도 100, 1/250

달 달 무슨 달 쟁반같이 둥근 달 어디어디 떴나.....

'Solar System > Mo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tal Lunar Eclipse(2011.12.10)  (0) 2015.10.18
달(2011.10.03)  (0) 2015.10.18
copernicus  (0) 2015.09.30
tycho & clavius  (0) 2015.09.30
지구조  (0) 2015.09.30

 

 

(위)
촬영일시 : 2000년11월06일(음 10.11)
촬영장소 : 충북 제천시 모산비행장
촬영장비 : FS-78 (D=78mm FL=630mm F/8), COSMOS CM1 Mount, 프뢰슬 13mm사용, 합성 FL=약4850mm, 합성 F/62, Nikon FM2, Fuji 수퍼리아100, 1초

(아래)
촬영일시 : 2000년11월06일(음 10.11)
촬영장소 : 충북 제천시 모산비행장
촬영장비 : FS-78 (D=78mm FL=630mm F/8), COSMOS CM1 Mount, LV 5mm사용, 합성 FL=약12600mm, 합성 F/162, Nikon FM2, Fuji 수퍼리아100, 2초


  월면을 촬영해 봤습니다. 날이 맑고 달이 중천에 있어 촬영 조건이 비교적 좋았습니다. 초점이 약간 맞지 않았으며 노출이 조금 오버됐습니다. 초점 맞추기 정말 어렵데요. 코페르니쿠스는 월면에서 빼어나게 돋보이는 명소 중의 하나로 '폭풍의 바다' 속에 자리잡고 있습니니다. 지동설을 주창한 코페르니쿠스를 기리기 위해서 이름지었다고 합니다. 이놈은 여러 겹으로 겹쳐진 듯한 계단 모양의 둥근 내벽과 다양한 중앙 봉우리가 있는 전형적인 젊은 분화구랍니다. 코페르니쿠스를 중심으로 한 주변 지형은 유성의 충돌로 생긴 듯한 수많은 둔덕과 열구로 매우 복잡해 보이는데, 밋밋한 바다 한가운데 자리잡고 있어 처음에는 주름진 스커트 자락처럼 보인다네요. 층층으로 이루어진 계단식 내벽은 주변 지형에서 900m 높이로 솟아 있고 수많은 산사태의 흔적이 보인다는 군요. 형태는 원형이라기보다는 육각형에 가깝고 바닥에서 1,200m 높이로 솟아 있는 중앙 봉우리의 형태와 빛 줄기도 흥미로운데 그 빛 줄기의 일부분은 거의 800km에 이르며 보름 달에 가까울수록 더욱 선명해진다고 하니 한 번 유심히 관측해 보세요.

'Solar System > Mo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2011.10.03)  (0) 2015.10.18
보름달(2003.04.16.)  (0) 2015.10.18
tycho & clavius  (0) 2015.09.30
지구조  (0) 2015.09.30
초승달(월령 4일)  (0) 2015.09.30

 

 

위)
촬영일시 : 2000년11월06일(음 10.11)
촬영장소 : 충북 제천시 모산비행장
촬영장비 : FS-78 (D=78mm FL=630mm F/8), COSMOS CM1 Mount, 프뢰슬 13mm사용, 합성 FL=약4850mm, 합성 F/62, Nikon FM2, Fuji 수퍼리아100, 1.5초

(아래)
촬영일시 : 2000년11월06일(음 10.11)
촬영장소 : 충북 제천시 모산비행장
촬영장비 : FS-78 (D=78mm FL=630mm F/8), COSMOS CM1 Mount, LV 5mm사용, 합성 FL=약12600mm, 합성 F/162, Nikon FM2, Konica Centuria 400, 1초

  월면의 티코와 클라비우스 주변을 촬영해보았습니다. 노출과 초점 맞추기가 역시 어렵다는 것을 또 한번 실감했습니다. 특히 초점 맞추기는 장난이 아닙니다.
  티코는 빛 줄기 무늬를 가진 분화구중에서 단연 압권입니다. 달의 남반구 고지대에 있는 티코는 주위의 많은 분화구로 인해 특별히 두드러져 보이지 않다가 달이 점점 보름달이 됨에 따라 밝은 빛 줄기를 내뿜으면서 생기롭게 살아납니다. 마치 수박꼭지와 같은 밝은 줄무늬를 드리운 것처럼 보이기도 하는 티코는  분화구 중앙에 1,600m높이의 '매시프(Massif)'라는 봉우리가 솟아있으며, 계단 모양의 내벽과 울퉁불퉁한 바닥이 특징입니다.
  클라비우스는 내부에 작은 분화구를 알처럼 품고 있는 것이 퍽 인상적입니다. 작은 분화구 5개가 작아지면서 활처럼 위로 휘어지듯이 늘어서 있답니다.
  티고는 덴마크의 천문학자 티코브라에를 기려 이름지었으며, 클라비우스는 독일의 천문학자 크리스토프 클라우를 기리기 위해 이름 지었다는군요. 티코와 클라비우스를 주의 깊게 관측해보세요. 달이 새롭게 다가올 것입니다.

'Solar System > Mo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름달(2003.04.16.)  (0) 2015.10.18
copernicus  (0) 2015.09.30
지구조  (0) 2015.09.30
초승달(월령 4일)  (0) 2015.09.30
달 - 천체사진 첫 작품  (0) 2015.09.30

 

촬영일시 : 2000년05월07일(음 04.04)
촬영장소 : 충북 제천시 봉화재
촬영장비 : FS-78 (D=78mm FL=630mm F/8), COSMOS CM1 Mount, Nikon FM2, Kodak MAX 400, 5초

  지구에 의해 반사된 태양 빛이, 달을 비추어 달의 그늘진 부분이 보입니다. 초승이나 그믐 때쯤이면 지구조를 눈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 모습은 사진보다 훨씬 더 사람을 황홀하게 만듭니다.  참 좋더군요.  촬영 시 월령은 3.0일입니다. 아이쿠~ 이런! 달이 상하가 뒤집혔네요.

'Solar System > Mo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름달(2003.04.16.)  (0) 2015.10.18
copernicus  (0) 2015.09.30
tycho & clavius  (0) 2015.09.30
초승달(월령 4일)  (0) 2015.09.30
달 - 천체사진 첫 작품  (0) 2015.09.30

 

촬영일시 : 2000년05월07일(음 04.04)
촬영장소 : 충북 제천시 봉화재
촬영장비 : FS-78 (D=78mm FL=630mm F/8), COSMOS CM1 Mount, LV20mm 사용, 합성 FL=약1250mm, 합성 F/16, Nikon FM2, Kodak MAX 400, 1초

  달 중에서 가장 이쁘다는 초사흘 달. 비교적 날이 맑고 대기가 깨끗했으나 달의 고도가 낮아 제대로 찍히지 않았습니다. 초점도 약간 어긋났습니다. 월령은 3.0일입니다. 동생과 함께 일요일 날 봉화재에서 관측을 했는데, 달 아래로 충주시의 불빛이 하늘을 밝히고 있었습니다. 참으로 훠~언 하데요. 씁쓸했습니다.

'Solar System > Mo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름달(2003.04.16.)  (0) 2015.10.18
copernicus  (0) 2015.09.30
tycho & clavius  (0) 2015.09.30
지구조  (0) 2015.09.30
달 - 천체사진 첫 작품  (0) 2015.09.30

 

촬영일시 : 1999년11월16일(음 1999.10.09)
촬영장소 : 충북 제천시 장락동
촬영장비 : FS-78 (D=78mm FL=630mm F/8), COSMOS CM1 Mount, LV20mm 사용, 합성 FL=약1250mm, 합성 F/16, Nikon FM2, Konika VX 100, ?초

  처음으로 찍은 천체 사진입니다. 촬영 장비를 어떻게 사용하는지도 모르고 촬영 방법도 몰라 '이렇게 하면 될까?'하고 반신반의 하며 시도했는데 뜻밖에도 사진이 나왔습니다. 비록 초점이 맞지는 않았으나 참 신기하고 기분이 좋아 잠을 설쳤습니다. 참, 월령은 8.0일입니다.   기록도 서툴러 노출을 얼마 주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사실 기록을 해야한다는 것도 모랐습니다. 지금 생각해도 참~!!!!

'Solar System > Mo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름달(2003.04.16.)  (0) 2015.10.18
copernicus  (0) 2015.09.30
tycho & clavius  (0) 2015.09.30
지구조  (0) 2015.09.30
초승달(월령 4일)  (0) 2015.09.3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