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DA 제1천문대
-PENTAX 67 SMC 165mm F2.8
-NJP Temma2
-ST-10XME w/CFW-8A(-20)
-two frame mosaic
[각 프레임]
-Hα : 600초X4장(1X1) + 1200초X1장(1X1)
-GB : 각 300초X3장씩(1X1)
-2007. 06. 09
초점거리가 짧고 구경이 작다보니 쫌 거시기 합니다.
< 북아메리카 성운-NGC 7000>
표면밝기가 낮은 북아메리카 성운은 산광성운으로 120분× 100분의 크기를 갖고 있다. 윌리암 허셀이 1786년 처음 발견했으며, 1890년 Max Wolf가 사진 촬영을 하고 나서 오늘과 같은 이름을 갖게 되었다. NGC7000의 추정등급은 4.5등급이지만 너무나 크기 때문에 망원경 시야에는 13등급의 성운으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 북아메리카 성운을 맨눈으로 보았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여간해서는 힘들고 사진상으로 쉽게 그 모습을 드러낸다. 성운내부에는 암흑대가 두드러져 '허드슨 만', '멕시코 만' 등의 멋진 모습을 볼수 있는데 특히 허드슨 만 일대는 강한 에너지 발산되고 있는 지역이다.
< 펠리칸 성운-IC 5067,70>
NGC 7000의 서쪽에 넓은 영역을 차지하고 있는 산광성운으로 이 성운의 크기는 80분 정도로써 북아메리카 성운과 거의 비슷한 크기이다. 북아메리카 성운에 비해서는 상당히 어두운 대상으로 전체적인 모양은 펠리칸이라는 새와 흡사하며 새의 눈이나 주둥이는 상당히 비슷하다. 전체 성운의 모습중에 새의 머리 부분이 가장 밝게 보인다. 안시 관측 보다는 사진 촬영으로 조사해야 하는데 정밀한 사진에서는 성운내의 복잡한 구조와 여러 가지 기이한 모습들을 접할 수 있다.
'Deep Sky Object > Nebula' 카테고리의 다른 글
IC434 - HorseHead Nebula (0) | 2015.09.30 |
---|---|
NGC6992 & NGC6960 - Veil Nebula (0) | 2015.09.30 |
M20 - Trifid Nebula (0) | 2015.09.30 |
NGC6888 - Crescent Nebula(한국천문연구원 '이주의 천체사진 2007.07.15~2007.07.21' 선정작) (0) | 2015.09.30 |
M8 & M20 - Lagoon & Trifid Nebula (0) | 2015.09.30 |